맥북을 초기화하는 방법을 알고 싶으신가요? 맥북을 초기화하면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 공장 출고 상태로 되돌릴 수 있어, 중고로 판매하거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해요.
초기화 과정은 크게 준비, 복구 모드 진입, 디스크 초기화 및 macOS 재설치로 나눌 수 있어요. 이 글을 읽으면 맥북 초기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고, 필요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백업 및 준비
먼저, 초기화하기 전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Time Machine을 사용해 외장 하드 드라이브에 전체 시스템을 백업하거나, iCloud를 통해 중요한 파일들을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어요. 백업을 완료한 후에는 초기화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답니다.
그리고, iCloud 및 기타 계정 로그아웃도 잊지 말아야 해요. Apple ID, iTunes, iMessage 등 개인 계정에서 로그아웃을 해두면 초기화 후 불필요한 계정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요.
복구 모드 진입
복구 모드로 진입하려면 먼저 맥북을 꺼주세요. 그런 다음, Command (⌘) + R 키를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복구 모드로 진입할 수 있어요. Apple Silicon 칩이 장착된 맥북의 경우,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복구 모드로 진입할 수 있어요. 복구 모드에 들어가면 유틸리티 창이 나타나고, 여기서 다음 단계들을 진행할 수 있어요.
디스크 유틸리티를 사용한 디스크 초기화
복구 모드에 들어가면 디스크 유틸리티를 선택하세요. 그리고 내장 디스크를 선택하고 ‘지우기’를 클릭해 디스크를 포맷할 수 있어요. 포맷 형식으로는 최신 macOS를 사용하는 경우 APFS를 선택하면 되고, 그 이전 버전의 macOS를 사용하는 경우 Mac OS 확장 (저널링)을 선택하면 돼요. 디스크를 초기화하면 맥북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돼요.
macOS 재설치
디스크 초기화가 완료되면 복구 모드의 메인 메뉴로 돌아가서 macOS 재설치를 선택해 주세요. 이 과정에서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이 필요해요. 재설치를 마치면 맥북이 재부팅되면서 초기 설정 화면이 나타나게 돼요. 여기서 설정을 마치면 초기화가 완료돼요.
주의사항
초기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원과 인터넷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에요. 초기화 중 전원이 꺼지거나 인터넷이 끊기면 과정이 중단될 수 있어요. 그리고 초기화 후, 특히 중고 판매를 위해 초기화하는 경우에는 초기 설정을 건너뛰고 맥북을 종료하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 하면 새로운 사용자에게 첫 설정을 맡길 수 있답니다.
이제 이 방법을 따라 맥북을 초기화해 보세요. 직접 해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시스템이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어요.